금융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 가입 조건, 신청 방법, 저축 혜택 (by 하루살이)

harusary 2023. 6. 29. 11:20

안녕하세요. 하루살이입니다.

 

청년들의 미래자금 조성을 돕기 위한 정부의 새로운 정책 '청년도약계좌'의 모든것을 이 글 하나로 완벽이해 하실 수 있도록 총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i. 청년도약계좌란?
                                                                           ii. 청년도약계좌 혜택
                                                                           iii. 청년도약계좌 요건
                                                                           iv.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v. 11개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 정리

                                                                           vi. 청년도약계좌 활용방법

 

i.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 6월 15일부터 운영을 개시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월 7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되며 만기는 5년입니다. 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매칭 지원하며 이자소득에 비과세(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ex) 현재 총 급여 3,600만원인 청년이 가입 후 매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 시 만기 수령액 4,833만원 ~ 4,940만원
     [산출 내역 : 원금 4200만원(매월 70만원씩 5년) + 은행 이자 534~640만원 + 정부 기여금 및 이자 160만원]


ii.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고(자유적립식 상품), 금리가 시중은행의 다른 예금, 적금 등 금융상품 보다 높은 편(최대 5.5% + 소득+우대금리 0.5%)입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기여금(월 최대 70만원)이 지급됩니다.

직전 과세기간('22.1.1. ~ '22.12.31.)의 개인소득 정도에 따라서 혜택이 일부 달라집니다.

  1.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비과세 혜택, 소득+우대금리(0.5%p) 적용

  2. 총 급여 60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비과세 혜택 적용

  3. 총 급여 6000만원 초과 ~ 7500만원 이하 : 비과세 혜택만 적용

  4. 외국인 : 비과세 혜택만 적용

 

<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 >

개인소득 본인 납입한도()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1,600만원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2,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3,6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4,8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6,300만원 - - -

개인소득 수준에 위 혜택을 받은 경우, 일반적인 적금상품과 비교하면 아래와 같은 적금 이율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 5년간 개인소득(총 급여 기준) 3,600만원 이하 : 연 7.01~8.19% 수준

** 5년간 개인소득(총 급여 기준) 4,800만원 이하 : 연 6.94~8.12% 수준

** 5년간 개인소득(총 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 : 연 6.86~8.05% 수준

** 5년간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상 ~ 7,500만 원 이하 : 기본금리(4.5%) + 은행별 우대금리(최대 1%p)와 비과세 혜택만 적용되고, 정부기여금 없음.

 

(금리 및 비과세 적용) 가입 후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2 변동금리는 해당시점의 기준금리와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를 합하여 설정될 예정입니다.

각 납입금액별 금리적용 이자 산정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본인이 납입한 금액 : 기본금리 + 우대금리 + (저소득층은 소득+우대금리 추가) + 비과세 적용
  2. 정부기여금 : 기본금리 + 비과세 적용되고, 우대금리 미적용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는 가입신청 시점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 충족횟수충족 횟수에 따라 결정되게 됩니다.

*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소득요건 충족횟수 5 4 3 2 1
소득+우대금리 수준 공시금리
100% 지급
공시금리
80% 지급
공시금리
60% 지급
공시금리
40% 지급
공시금리
20% 지급

(중도해지) 일반적인 중도해지하는 경우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고,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납입하지 않고 최대한 계좌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필요시 청년도약계좌를 적금담보부대출하여, 자금을 활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정부기여금지급되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된 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iii. 청년도약계좌 요건

(가입대상) 개인소득 요건가구소득 요건모두 충족하는 청년(19~34*, 계좌 개설일 기준)

*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입 제한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한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어,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하신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개인소득 요건)

직전 과세기간*(’22.1~’22.12)총급여가 7,500만원 이하 / 종합소득 기준 6,300만원 이하인 경우 가입 가능

(가구소득 요건)
가입 신청자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가구원은 원칙적으로 가입 신청자의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가구원 판단 시 예외사례 등 가구소득 확인 관련 세부사항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nfa.or.kr)에서 안내

* 직전 과세기간(’22.1~’22.12)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21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 확정된 이후에는 ’22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 충족 필요

 

*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중위소득

구분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80%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가구 1,827,831 3,290,095 1,944,812 3,500,661
2인가구 3,088,079 5,558,542 3,260,085 5,868,153
3인가구 3,983,950 7,171,110 4,194,701 7,550,461
4인가구 4,876,290 8,777,322 5,121,080 9,217,944
5인가구 5,757,373 10,363,271 6,024,515 10,844,127
6인가구 6,628,603 11,931,485 6,907,004 12,432,607
7인가구 7,497,198 13,494,956 7,780,592 14,005,065

*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1인 증가시마다 ‘21년은 868,595, ’22년은 873,588원씩 증가

 


iv.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6.15일부터 11개 은행*에서 운영을 개시하였습니다. ’23.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취급은행의 앱(App)을 통해서 영업일(오전 9시~오후 6시 30분)에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

* SC제일은행은 ’24.1월부터 운영 개시

 

가입 신청자는 은행 앱(App)에서 연령 요건,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여부등을 신청 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개인소득, 가구소득 요건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원칙적으로 비대면으로 확인합니다. 가구소득 요건 확인은 주민등록등본을 기준으로 가구원을 판단한 이후 가입자와 가구원의 소득조회 동의를 거쳐 이루어집니다. 요건 확인이 전부 완료되면 가입을 신청받은 은행에서 가입 가능여부를 안내한다고 합니다.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받은 청년은 1개 은행을 선택하여 7월 10일부터 7월 21일 중 계좌개설이 가능(1인 1계좌*)합니다.

* 가입신청은 복수 은행에서 가능하나, 계좌개설은 1개 은행만 선택 가능

 


v. 11개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정리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변동금리의 경우 해당시점의 기준금리와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를 합하여 설정된다고 합니다.

★급여 기준 개인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소득+우대금리(저소득층 우대금리)가 부여됩니다.

 

다음으로 어느 은행이 가장 높은 금리를 주는지?, 나에게 맞는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은 어디인지? 궁금해하시는 여러분들을 위해 제가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11개 시중은행의 금리를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 (기준일자 : 2023. 6. 29.)

 


은행 기본금리* 소득+ 우대금리**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은행별 우대금리****
NH농협은행 4.50% 0.50% 0.9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20%p, ③ 카드실적 0.20%p, ④ 가입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포함)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10%p)
신한은행 4.50% 0.50% 1.0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30%p, ②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 0.30%p, ③ 첫 거래 우대 0.40%p)
우리은행 4.50% 0.50% 1.0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 1.00%p, ② 예적금 미보유 : 0.50%p, ③ 카드결제(신용/체크) : 0.50%p)
* 만기해지 시점까지 적금 자동이체 및 마케팅 동의 유지 필수
하나은행 4.50% 0.50% 1.0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 (가맹점대금) 이체 [36회차 이상] : 0.60%, ② 마케팅동의 : 0.10%, ③ 카드 결제실적 [월10만원이상, 36회차 이상] : 0.20%, ④ 목돈마련응원 : 0.10%)
IBK기업은행 4.50% 0.50% 0.6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10%p, ③ 지로/공과금 0.20%p, ④ 카드이용 0.20%p, ⑤ 최초고객 0.30%p)
KB국민은행 4.50% 0.50% 1.25%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60%p, ② 자동이체 0.30%p, ③ 거래감사 0.10%p)
DGB대구은행 4.00% 0.50% 1.00%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마케팅동의 0.30%p, ② 주택청약 보유 0.50%p, ③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0.70%p)
BNK부산은행 4.00% 0.50% 1.00% 우대금리 최대 연1.50%p
(① 급여이체 : 0.50%p, ② 카드실적 : 0.50%p, ③ 신규고객 : 0.50%p)
광주은행 3.80% 0.50% 1.20%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50%p, ② 카드사용 우대금리 0.50%p, ③ 첫 거래 우대금리 0.50%p, ④ 만기축하 우대금리 0.20%p)
전북은행 3.80% 0.50% 1.30%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70%p, ② 마케팅 동의 0.20%p, ③ 적금 자동이체 0.30%p, ④ 카드실적 0.50%p)
BNK경남은행 4.00% 0.50% 1.20%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급여이체 0.70%p, ② 주택청약 보유 0.40%p, ③ 최초신규고객 0.40%p)

 

  • *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이후 변동금리 적용),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아래 소득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
     (총 급여

    소득요건 충족 횟수 5회 4회 3회 2회 1회 0회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전체 지급%
    소득+우대금리
    X 8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6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4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20% 지급
    미지급
  • *** 비대면대출 기준. 본 적금을 담보로 대출 이용 시 가산되는 금리로, 대출금리는 기본금리+ 대출시점에 확정된 우대금리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로 결정
  • **** 우대금리 항목은 은행마다 상이하며, 적용 가능 여부는 은행별 홈페이지, 어플 등을 통해 추후 확인 가능

아래는 각 은행의 우대금리 적용 세부항목에 대한 비교정리표입니다. 각 우대금리 요건 세부내용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


은행명
우대금리 세부항목
① 급여이체 ② 마케팅 동의 ③ 자동이체 ④ 카드실적 ⑤ 최초거래 ⑥ 주택청약 ⑦기타 최대
농협 0.5%
50만원↑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이체실적별 금리
12개월↑:0.1
36개월↑:0.3
50개월↑:0.5
0.2%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동의
- 0.2%
NH채움카드(신용,체크)
사용 월 평균 20만원↑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0.1%
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
(⑤,⑦중복불가)
- 0.1%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⑤,⑦중복불가)
1.0%
신한 0.3%
50만원↑&30개월↑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 - 0.3%
신한카드(신용,체크)
1원↑&30개월↑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0.4%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
- - 1.0%
국민 0.6%
50만원↑&36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 0.3%
월2건↑(1원↑)
&36개월↑
또는 리브엠 통신요금 36개월↑
- - 0.1%
계약기간 중 주택청약
신규가입
(⑥,⑦중복불가)
0.1%
KB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⑥,⑦중복불가)
1.0%
우리 1.0%
50만원↑&30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가입기간 내
유지 필수
가입기간 내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필수
0.5%
우리카드(신용,체크)
10만원↑&30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0.5%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 ①,④,⑤ 합산 최대 1.0% 1.0%
하나 0.6%
50만원↑&36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0.1%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동의
- 0.2%
하나카드(신용,체크)
10만원↑&36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0.1%
직전 1년간 하나은행
예적금 미보유자[청년 지원정책상품(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보유 무관]
- - 1.0%
기업 0.5%
50만원↑&36개월↑
(가입기간 내)
0.1%
(가입 시점)
문자 수신 동의
0.2%
월2건↑(1원↑)
&36개월↑
0.2%
기업카드(신용,체크)
연평균 200만원
(월평균 16.7만원)
(가입기간 내)
0.3%
2가지 중 하나 충족 시
1. 실명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또는
2. 가입일 직전월 기준 6개월간
총수신평잔 0원 고객
- ①,②,③,④,⑤ 합산 최대 1.0% 1.0%
대구 - 0.3%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동의
0.7%
(만기 시 확인)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30개월↑
- - 0.5%
(가입 시점)
대구은행
주택청약 보유
- 1.5%
부산 0.5%
50만원↑&30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 - 0.5%
부산은행
BC카드(신용,체크) 실적
500만원↑
(월평균 8.33만원)
(가입기간 내)
0.5%
직전 3년 부산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 - 1.5%
광주 0.5%
50만원↑&30개월↑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 - 0.5%
광주은행카드(신용,체크)
500만원↑
(월평균 8.33만원)
(가입일 부터 만기 전월말까지)
0.5%
직전 1년간 광주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 0.2%
해지원금 3천만원
이상 만기해지
1.7%
전북 0.7%
50만원↑&30개월↑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0.2%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동의
0.3%
월1건↑(1원↑)
&30개월↑
0.5%
전북은행카드(신용,체크)
1원↑&&30개월↑
(가입일 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 - - 1.7%
경남 0.7%
50만원↑&30개월↑
(가입월부터 만기월까지)
- - - 0.4%
직전 1년간 경남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
0.4%
(가입 시점)
경남은행
주택청약 보유
- 1.5%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12개 은행 콜센터와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1397)에서 상담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은행별 대표 콜센터>

기관명 연락처 기관명 연락처
국민은행 1588-9999 부산은행 1588-6200
신한은행 1577-8000 대구은행 1566-5050
하나은행 1588-1111 광주은행 1588-3388
우리은행 1588-5000 전북은행 1588-4477
농협은행 1661-3000 경남은행 1600-8585
기업은행 1588-2588 SC제일은행 1588-1599
 

 

vi. 청년도약계좌 활용방법

장점으로 상품 금리가 시중은행 일반적금 기준 이율 7~8%과 동일한 효과로 높은 편이라서 안정적인 저축, 투자처를 찾는 분께 훌륭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자유납입식 상품이라 자금사정이 어려운 기간에는 미납입하여 적금을 유지할 수 있는 점을 활용하면 좋을듯합니다.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 특별중도해지 요건 해당 시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고 자금 회수 가능합니다.  특별중도해지 요건 미해당할 경우에도 큰 목돈이 들어갈 일이 생기면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기보다 적금담보부대출이 가능한 점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만합니다.

저소득층보다 두텁게 지원하기 위한 복지상품중소기업 재직자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동시가입허용하고 있습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청년도약계좌 순차가입 허용

* 중도해지 포함(청년희망적금 특별중도해지 요건 해당 시에만 저축장려금 지급, 비과세 적용)

 

단점으로 청년도약계좌 기간의 가입기간이 5년으로 긴 편이고, 정부 기여금 및 소득+우대금리 등 혜택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높으나,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최대한도인 월 70만원 납입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 요건 충족을 위해서 자사 은행계열 카드사 이용실적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평소 사용하던 카드사와 같은 계열 은행에서 가입하시거나, 새로 카드발급하여 실적을 쌓는 등 번거롭고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점이 아쉽습니다.